전원주택이나 농가주택에서 지진을 만났을 때의 행동요령과 대피요령을 알아봅니다. 몇 년 전의 포항지진으로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경각심과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관련자료를 찾아보면 아파트나 도심빌딩에서의 대피요령이나 행동지침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래서 전원주택이나 농가주택에서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지진대피 요령, 행동요령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전원주택 지진대피 요령
1. 탁자, 책상아래 등 단단하고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공간으로 피합니다
지진이 막 발생했을 때는 집도 몸도 흔들리는 와중이어서 정신이 없을 것입니다. 일단 몸을 낮추고 머리를 보호하며 식탁이나 책상같이 단단하고 떨어지는 낙하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몸을 숨겨야 합니다.
2. 가스를 차단하고, 신발을 신고 마당으로 나갑니다
지진은 보통 약 2~3분간 계속된다고 합니다. 최초 지진이 잦아들면 여진을 대비하여 일단 집밖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여유가 있다면 밖으로 나가기 전에 집안의 가스불을 끄고 밸브를 잠가 가스를 차단합니다. 겨울이어서 실내 난방기구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난롯불을 끄거나 전원을 차단합니다. 그리고 가장 빠른 시간 내에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나갈 때는 급한 마음에 그냥 나가지 마시고 신발을 반드시 챙겨 신고 나갑니다. 지진으로 각종 부착물이 떨어져 파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발을 신는 것은 중요합니다.
3. 가능한 넓은 공터가 있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지진이 한 번으로 그치는 경우는 없다고 합니다. 보통 2~3차례 이상의 여진이 발생합니다. 지진의 강도가 더 셀 수도 있고 덜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여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상정하고 대피해야 합니다. 다행히 전원주택은 주변에 높은 구조물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을 포함하여 담장이나 집벽, 옹벽, 주변의 나무 등이 쓰러져도 닿지 않을 정도로 거리를 둘 수 있는, 되도록 넓은 곳으로 이동해서 몸을 낮추고 있습니다. 혹시 토사가 밀려 내려올 수 있는 길목은 피해야 합니다. 대피 시 주의할 점은 최소한 현관문은 열어 놓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문을 닫아 놓으면 지진으로 집의 구조체가 압력을 받아 비틀려 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대피소로 이동해야 한다면 걸어서 이동합니다
지진대피소는 국민재난안전포털에 의하면 ‘지진발생 초기에 운동장, 공터 등 구조물 파손 및 낙하물로부터 안전한 외부대피장소’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지진초기’ 대피용입니다. 사실 전원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소용이 덜한 곳입니다. 하지만 강력한 지진이어서 피해가 상당하고 기간시설의 파괴도 많이 이루어질 정도의 상황이라면 지진대피소를 중심으로 정보가 유통되고 행정조치도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상황에서는 지진대피소로의 이동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전원주택은 주변 대피소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차량이동을 생각하기 십상입니다. 하지만 대피소로 이동해야 할 정도의 상황이라면 도로도 균열이 발생했거나 토사유출등으로 위험할 수 있습니다. 거리가 멀더라도 대피소로의 이동은 걸어서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공식적인 대피소가 보통 인근 학교의 운동장이므로 그곳까지가 너무 멀다면 일단 마을회관 등 다중이 모이기 쉽고 주변 사람들과 연락하기 쉬운 곳으로 이동하여 차후 행동계획을 판단합니다.
5. 대피소로 이동 전에 최소한의 안전조치를 합니다
대피소로 이동해야 할 상황이라면 집을 벗어나기 전에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는 안전조치는 하여야 합니다. 떨어져 파손되기 쉬운 물건도 가능하면 내려놓고 가면 좋습니다. 하지만 너무 욕심부리지 말고 여진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는 정도의 조치만 하고 빨리 대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평군 지진 대피소
가평읍 지역
○ 가평종합운동장 : 가평군 가평읍 문화로 131
○ 가평중학교 운동장 : 가평군 가평읍 광장로 10
○ 가평고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가평읍 호반로 2601
설악면 지역
○ 미원초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설악면 신천중앙로 120번길 11
○ 설악중고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설악면 한양부로 21-1
청평면 지역
○ 청평중학교 운동장 : 가평균 청평면 골안길 7
○ 청평초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청평면 잠곡로 27
상면 지역
○ 상면초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상면 청군로 700-22
조종면 지역
○ 조종생활체육공원 : 가평군 조종면 현리 420-13
○ 조종초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조종면 현리 276
북면 지역
○ 목동초등학교 운동장 : 가평군 북면 석장모루길 13
마치며
국가 통계에 따르는 국내에서는 2022년에 총 57회(남한 기준)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대부분은 사람이 느끼기 어려운 정도의 미약한 지진이었지만 몇 년 전 포항지진 사례와 같이 한 번 발생하면 큰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도심과는 여건과 상황이 다를 수밖에 없는 가평지역의 전원주택 거주자로서 전원주택에서의 지진대피 요령과 행동요령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댓글